Book photo by Jang Hyejin

About the book

“I have been thinking about what stories I can tell as a woman, as a queer person, and as an artist. And the first result was this book. I am not a human rights activist, much less a person with certain beliefs or aspirations; rather,  just an ordinary person who focuses on things that are in touch with daily life. However, since I live in a foreign country as an Asian woman and a queer person, there are stories I can tell but others won’t be able to. I also had a desire to speak out by borrowing the mouths of feminists who were more courageous than me. I hope that those who open this book can hear their voices and find courage deep inside themselves.” - from“Prologue” by Jungeun Lee 

The 19th book of Aprilsnow Press’s Belonging Nowhere is a project on queer feminism by Jungeun Lee, an interview collection with eight interviews with queer feminists, as well as a collection of related photos and video clips. The artist, currently residing in Germany, interviewed and photographed eight Korean queer feminist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Europe (Germany, France, and the Netherlands) over two years starting in 2019: Oh Han-seo, a feminist dreaming of a new start in Berlin; Jerry Ahn, who rejects gender dichotomy; Yeon, a lesbian who had difficulty finding a sense of belonging as a member of society; Yogue who experienced sexism while working as a model in Korea; Yuni, who overcame the denial period in Amsterdam, Beer as a feminist activist and artist, Yeonju Yoo, who dreamed of settling down in France, and Fabulous Woman, who works in Berlin while producing lesbian YouTube content. The book contains not only portraits of the interviewees, but also various photos and video clips as visual metaphors for the feelings or states of queer feminists.

The eight interviews and fragments of the artist's feelings residing in Germany are rare examples of intersectional feminism that crosses the positions of 'Oriental women', 'queer', and 'immigrants'. As a queer feminist, the author encounters a new oppressive mechanism of racism in Europe. As the gender identity of queer overlaps with another identity of an Asian woman, the position of the artist in Europe stands at a new ‘crossroads’. This project, which began as an exploration of the artist's individual self-identity, eventually expands to the issue of identity for Asian queer feminists in Europe.

At the end of the book, artist siren eun young jung's essay helps to understand the book.

In Korean only. 


Contents

Prologue
Hanseo Oh - New Leaf
Jerry Ahn - Sex: Unknown
Yeon - UPWARDS
Yogue - Fair Enough
Beer - Where I Belong
Yunie - Grey Zone
Yeonju Yoo - Crevasse
Fabulous Woman - Surviving Strategy
Epilogue
siren eun young jung - A World To Touch: Jungeun Lee’s Belonging Nowhere

Artist. Jungeun Lee  
Photography. Jungeun Lee & Jina Yang
Interviewees. Hanseo Oh, Jerry Ahn, Yeon, Yogue, Beer, Yunie, Yeonju Yoo, Fabulous Woman
Copy editor. Sungjin Jeon
Essay. siren eun young jung  
Title Lettering. Noh Eunyou(Sori Font) 
Editor. Kay Jun 
Book Design. Jeong Jaewan 
Printing and Binding. KB Factory
Published in March 2022

In edition of 300
Pages. 192
Size. 178(w) x 257(h) x 9(d)mm
Binding. Softcover


Source:
April Snow



책 소개

나 또한 한 명의 여성으로서, 퀴어로서, 그리고 예술가로서 할 수 있는 이야기가 무엇일지 고민해왔다. 그리고 그 첫 번째 결과물이 이 책이 되었다. 나는 인권운동을 하는 사람이 아니고, 어떤 신념이나 포부를 가진 사람은 더더욱 아니고, 그저 일상과 맞닿아 있는 것들에 집중하는 평범한 사람이다. 하지만 외국에서 동양 여성이자 퀴어로 살고 있어서 내 방식대로 할 수 있는 이야기도 있으니까, 내가 할 수 있는 만큼의 행동을 하는 게 목표였다. 그리고 사실은 나보다 용기 있는 여성들의 입을 빌려 목소리를 내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이 책을 펼치는 사람들에게도 이들의 목소리가 가닿고 자신의 내면 깊은 곳에서 용기를 찾아낼 수 있기를 바란다. - 이정은, 「프롤로그」 중

사월의눈 19번째 책 『Belonging Nowhere』는 이정은 작가의 퀴어 페미니즘에 관한 프로젝트로서 아홉 명의 퀴어 페미니스트와의 인터뷰가 실린 인터뷰집이자 관련 사진과 동영상 클립이 수록된 작품집이다. 독일에 체류 중인 작가는 2019년도부터 2년여에 걸쳐 유럽(독일, 프랑스, 네덜란드)에서 생활하는 20~30대 한국 퀴어 페미니스트 8명을 인터뷰하고 사진으로 기록했다. 베를린에서 새 출발을 꿈꾸는 페미니스트 오한서, 젠더 이분법을 거부하는 안제리, 레즈비언으로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찾기 힘들었던 연, 한국에서 모델로 활동하며 성차별을 경험한 요괴, 암스테르담에서 디나이얼(denial) 시기를 극복한 유니, 여성 운동가이자 예술가로 활동하는 맥주, 프랑스에 정착하는 삶을 꿈꿨던 유연주, 레즈비언 유튜브 콘텐츠를 제작하며 베를린에서 직장 생활을 하는 굉여 등 이들 8명의 ‘여성-이민자-레즈비언’에 대한 생각과 경험이 실려 있다. 책에는 인터뷰이의 초상 사진뿐만 아니라 퀴어페미니스트의 감정 혹은 상태에 대한 영상적 은유로서 다양한 사진과 동영상 클립이 수록되어 있다.

8편의 인터뷰와 독일에 거주 중인 작가의 심정을 담은 단상들은 ‘동양 여성’, ‘레즈비언’, ‘이민자’의 위치를 가로지르는, 보기 드문 교차성 페미니즘의 사례들이다. 퀴어 페미니스트로서 작가는 독일에서 인종차별이라는 새로운 억압적 기제를 맞딱뜨리게 된다. 퀴어라는 성정체성에 동양 여성이라는 또하나의 정체성이 포개지면서 유럽 내 작가의 위치는 새로운 ‘교차로’에  서게 된다. 작가 개인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한 이 프로젝트는 궁극엔 유럽 내 동양 퀴어 페미니스트에 대한 성정체성 문제로 확장된다. 

이 책에 수록된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들이 한국의 퀴어 페미니스트들을 대변하진 않는다. 다만, 이들이 타국을 선택하고 이주를 결정해야만 했던 이유와 배경, 여전히 남아 있는 차별적 시선과 제도들, 어딜 가나 이방인일 수밖에 없는 위치에 관한 담화들은 결국 가장 소박하고 특별할 것 없는 일상에서 함께 모색하고 교정해 나가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책은 묻는다. 무엇보다 이 책은 -작가의 바람대로- 지금 어딘가 자신의 정체성 문제로 고민하고 주저하고 있을 이들에게 용기로 가닿기를 희망한다. 

책 말미에 수록된 정은영 미술가의 추천사가 책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차례

프롤로그
오한서 Hanseo Oh ----- 두 번째 삶 New Leaf
안제리 Jerry Ahn ----- 성별 알 수 없음 Sex: Unknown
연 Yeon ----- 더 나은 자리 UPWARDS
요괴 Yogue ----- 여자도 사람이다 Fair Enough
맥주 Beer ----- 내가 있어야 할 곳 Where I Belong
유니 Yunie ----- 그레이 존 Grey Zone
유연주 Yeonju Yoo ----- 틈 Crevasse
굉여 Fabulous Woman ----- 생존전략 Surviving Strategy
에필로그
정은영 - 만져져야 할 세계: 이정은의 『Belonging Nowhere』

출처: April S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