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ation view at Belonging Nowhere
SAPY Seoul Artists’ Platform, 2021 


Excerpt from Belonging Nowhere, video installation, 40’1”, 2021



Belonging Nowhere,
video installation, 2’19”, 2021



Belonging Nowhere,
video installation, 0’59”, 2021



Voice and Gesture

The project Belonging Nowhere began with interviews of eight queer women living in Europe. These eight interviewees—Oh Hanseo, Yogue, Yeon, Jerry Ahn, Yuni, Beer, Yeonju Yoo, and Fabulous woman—were recruited by Jungeun Lee and share the commonality of being queer women living outside Korea. The exhibition space features the omnibus-style film Belonging Nowhere, which compiles these interviews, along with eight separate performance videos in which the interviewees themselves appear as performers.

In the film Belonging Nowhere, which shares its title with the exhibition, the interviewees reveal their faces fully, and their stories are conveyed relatively clearly through their voices and speech. By contrast, the eight performance videos proceed without the distinguishing markers of each person—such as their voice or certain facial expressions. Instead, what we see are repeated gestures that seem, at first glance, meaningless: stroking the surface of water, gripping an iron bar, placing pebbles on one’s face. For the audience—who may have met the interviewees’ gaze and listened closely to their voices—these performances present an opposite qualit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video—the edited interview footage and the eight documented performances—serves as another reminder of the exhibition’s title: “belonging nowhere.” The layered identities of these individuals cannot be fully captured by words and voices alone, nor solely through gestures and metaphors—just as they cannot fully belong to either the place they were born and raised or to the new home they have built elsewhere.

Belonging Nowhere

Upon entering the exhibition, the audience first encounters the 40-minute video work Belonging Nowhere. In the winter of 2019, Jungeun Lee began recruiting queer women who had migrated to France, Germany, and the Netherlands. She met them in person to hear their stories, and six of them—Beer, Hanseo Oh, Jerry Ahn, Yeon, Yeonju Yoo , and Yogue—appeared before the camera to present themselves candidly.

The main themes are their layered identities as women, immigrants, and queer people, and the experiences of othering that arise from those identities. Although their confessions might seem to be reducible to a few key words, their visions of a “better life” branch off in different directions. The film Belonging Nowhere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titled Others, Crevasse, and New Leaf. The flow—from living as a queer woman in Korea, to the reasons and process of eventually leaving Korea, and to the new daily lives they have begun in countries like Germany and France—may seem as though it will lead to a hopeful conclusion.

Indeed, in their new homes where anti-discrimination laws exist, no one can legally discriminate against others based on identity, gender, or appearance, and the interviewees no longer have to consider their identity a weakness. However, the issue of race sometimes pushes them into the position of outsiders, and they confess calmly that Germany or France is not a belated paradise. They are still in a state of belonging nowhere, continuing to move forward in search of a better life and place.


Silent Confessions

In the eight performance videos, the interviewees appear as performers, but they present their stories in a way clearly distinct from Belonging Nowhere, where their voices and expressions were richly conveyed. For example, the gesture of slowly caressing the surface of a stone represents the process of becoming aware of one’s identity; melting ice with body heat symbolizes the transformation and formation of identity; and gripping an iron bar while hanging from it metaphorically expresses a kind of resistance.

The audience, watching from beyond the screen, naturally imagines the sensation of ice melting in the hand or the smooth yet rough surface of the stone, and in the same way, infers the unspoken utterances—emotions and states—of the figures within the voiceless performances. Before they know it, they leave the exhibition implicated in these confessions.


The Shape of Water

Water appears in both Belonging Nowhere and the eight performance videos. In Belonging Nowhere, we see the trembling surface of a lake, water pooled in a cracked crevice, and a river flowing somewhere. These images divide the chapters while also hinting that the different themes are connected.

In the performance videos, water appears in various forms such as snow and ice, and the process of its transformation by the performer is shown in detail. This evokes the fluid identities of the interviewees—identities that are not fixed—and the steps they take toward a “better life” they have yet to reach.

For Jungeun Lee and Jina Yang, this exhibition is not a conclusion but part of a journey that will continue. Beyond their aim to document the lives of the eight interviewees five or ten years later, the Belonging Nowhere project records the diverse trajectories of lives that carry the identities of woman, foreigner, or queer.

The shape of water becomes a key to interpreting the exhibition’s title—“belonging nowhere”—without reading it as premature pessimism or resignation. Water does not belong to any one place, nor does it exist in only one fixed form, and it is precisely for this reason that it exists as water. The repeated imagery of water in both the interviews and the performance videos affirms the fluid identitie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future transformations. For the audience, the project begins to serve as a catalyst for solidarity born from empathy and understanding.
(Text by Eunchae Cho)



목소리와 손짓

   《Belonging Nowhere》는 유럽에 거주하는 퀴어 여성 여덟 명의 인터뷰에서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이다. 이정은이 모집한 8명의 인터뷰이—오한서, 요괴, 연, 안제리, 유니, 맥주, 유연주, 굉여—에게는 한국이 아닌 곳에 거주하는 퀴어 여성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전시장에는 이 인터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담아낸 필름 〈Belonging Nowhere〉와 인터뷰이들이 직접 퍼포머로 참여한 여덟 편의 영상이 있다. 전시와 동명의 필름인 〈Belonging Nowhere〉에서 인터뷰이들은 자신의 얼굴을 전면에 드러내고, 그들의 이야기는 목소리와 말을 통해 비교적 분명하게 전달된다. 반면 여덟 편의 퍼포먼스 영상은 각자를 구분 짓는 특징, 예컨대 목소리와 특정한 표정을 뒤로 한 채로 진행된다. 물의 표면을 쓰다듬거나 철봉을 그러쥐고 또 얼굴 위에 조약돌을 올려놓는 일견 무의미하게 보이는 제스처가 반복될 뿐이다. 그리고 인터뷰이와 눈을 마주치며 각각의 음성에 귀 기울였을 관객은 정반대의 속성을 보이는 퍼포먼스를 맞닥뜨리게 된다. 두 종류의 영상—편집된 인터뷰 영상, 그리고 여덟 편의 도큐멘티드 퍼포먼스— 사이의 대치는,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전시의 제목을 또 한 번 상기하게 만든다. 인물들의 중첩된 정체성은 말과 목소리, 혹은 손짓과 은유 중 어느 하나로만은 고스란히 담아낼 수 없다는 것이다. 인터뷰이들이 태어나고 자란 곳, 혹은 그곳을 떠나 새롭게 꾸린 삶의 터전 중 그 어디에도 온전하게 속할 수만은 없는 것처럼 말이다.


Belonging Nowhere

   관객은 전시장에서 40분가량의 영상 작업 〈Belonging Nowhere〉을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된다. 2019년 겨울, 이정은은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로 이주한 퀴어 여성을 모집한다. 작가는 이들과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고, 여섯 명의 인물들—맥주, 오한서, 안제리, 연, 유연주, 요괴—은 카메라 앞에서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주된 화두는 여성, 이민자, 퀴어로서의 중첩된 정체성, 그리고 그 정체성에서 비롯된 타자화의 경험이다. 그들의 고백은 몇 가지 키워드로 요약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각자가 생각하는 ‘더 나은 삶’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어 나간다.

   〈Belonging Nowhere〉에는 ‘Others’, ‘Crevasse’, ‘New Leaf’라는 소제목이 붙은 세 개의 장이 있다. 한국에서 퀴어 여성으로 산다는 것, 결국 한국을 떠나게 된 이유와 과정, 그리고 독일과 프랑스 등에서 새롭게 시작한 일상으로 이어지는 이 흐름은 얼핏 희망적인 결론에 다다를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물론, 차별 금지법이 존재하는 그들의 새로운 터전에서는 정체성, 성별, 외모를 이유로 타인을 차별할 수 없고, 인터뷰이들 역시 자신의 정체성을 더는 약점이라고 여기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인종이라는 이슈는 때때로 그들을 이방인의 위치로 내몰고, 그들은 독일이나 프랑스가 뒤늦게 도착한 낙원이 아니라는 사실을 담담히 고백한다. 여전히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상태로, 더 나은 삶과 장소를 찾기 위해 나아가는 중인 것이다.


무언의 고백

   인터뷰이들은 여덟 편의 퍼포먼스 영상에 직접 퍼포머로 등장한다. 그리고 목소리와 표정을 풍부하게 드러냈던 〈Belonging Nowhere〉와는 분명히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 놓는다. 이를테면 돌의 표면을 천천히 어루만지는 제스처는 정체성을 인지하는 과정을, 체온으로 얼음을 녹이는 모습으로 변화하고 형성되는 정체성을, 철봉에 매달려 버티는 손을 통해 어떤 항변을 은유적으로 나타낸다. 스크린 너머의 관객은 손에서 녹는 얼음의 감각을, 혹은 돌의 매끄럽고도 거친 표면을 자연히 상상하게 되듯, 목소리가 소거된 퍼포먼스 안에 담긴 인물의 발화—감정과 상태—를 유추한다. 그리고 어느덧 이들의 고백에 연루된 채로 전시장을 나서게 된다.


물이라는 형상

   〈Belonging Nowhere〉과 여덟 편의 퍼포먼스 영상 사이에는 물이 등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Belonging Nowhere〉의 중간중간에는 호수의 흔들리는 표면, 갈라진 틈새에 고인 물, 어딘가로 흐르는 강물이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물의 이미지는 챕터와 챕터를 가르는 동시에, 서로 다른 화두가 연결된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퍼포먼스 영상에서 물은 눈과 얼음 같은 다양한 상태로 등장하며, 퍼포머에 의해 원래의 상태가 변화하는 과정이 자세히 담긴다.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 인터뷰이들의 유동적인 정체성, 그리고 아직 당도하지 못한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가는 발걸음을 연상하게 한다.

   이정은과 양진아에게 이번 전시는 하나의 마침표가 아닌, 앞으로도 지속될 여정의 일부이다. 여덟 명의 인터뷰이의 5년 후, 10년 후를 담겠다는 포부 외에도, 《Belonging Nowhere》 프로젝트는 여성, 이방인, 혹은 퀴어라는 정체성을 지닌 이들로 확장될 수 있는 삶의 다양한 궤적을 기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물의 형상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는 전시의 표제를 섣부른 비관이나 체념으로 읽지 않을 수 있는 열쇠가 된다. 물은 어느 한곳에 속하지 않고, 고정된 형태로만 존재하지도 않으며, 바로 그렇기 때문에 물로서 존재한다. 인터뷰와 퍼포먼스 영상에서 반복되는 물의 이미지는 그 자체로 이들의 유동적인 정체성과 앞으로의 변화를 긍정한다. 그리고 관객에게 이 프로젝트는 공감과 이해에서 비롯된 연대의 계기로 작동하기 시작한다. (글.조은채)



Artist. Jungeun Lee  
Photography. Jungeun Lee, Jina Yang
Interviewees. Hanseo Oh, Jerry Ahn, Yeon, Yogue, Beer, Yunie, Yeonju Yoo, Fabulous Woman